덴티스는 2005년 3월에 설립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을 주력으로 하여 의료용 조명등, 치과용 3D프린터, 바이오 등을 개발,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건강과 행복한 삶을 고객과 함께하는 메디컬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덴티스 261200 코스닥 상장사이다. 덴티스 주가는 10170원이며 시가총액은 1295억원이다.
덴티스 주가는 최근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7천원대 바닥권을 탈피하면서 1만원대까지 급등하였다. 21년 7월 최대 1.5만원대까지 상승한 이력은 있으며 현재의 가격대를 돌파한다면 추가적인 상승이 예측된다.
덴티스 주요제품
덴티스의 2022년말 기준, 매출액은 745억(별도 기준)으로 전년 대비 36.9% 증가하였습니다. 국내의 경우, 개인의원, 중대형병원 또는 대리점 등에 직접 판매하고 있으며, 판매대금의 회수는 현금, 신용카드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각 국가에 딜러등을 통한 해외판매대리점과 일부 국가 해외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판매대금의 회수는 현금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덴티스는 2020년 07월에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고, 기업의 브랜드 네임을 알리기 위해 홍보 모델을 통한 TV광고, 국내외 전시회, 국내외 교육기관을 통한 세미나 진행 등 마케팅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또한, 신제품 개발과 출시를 위해 자체적으로 매년 매출액의 5% 이상을 연구개발활동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덴티스 2022년 매출액
주) 상기표에 반영된 매출액은 별도기준입니다.
주) 각 유형별 매출액에는 각 성격에 따라 분류된 상품 및 용역의 금액이 포함 되어 있습니다.
임플란트 보험급여적용 주요내용
보건복지부는 '2014~18년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 계획'등에 따라 2016년 7월 1일부터 틀니 및 치과임플란트 건강보험 요양급여 적용 연령을 만 70세 이상에서 만65세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2018년 7월 1일 부터 환자본인부담율이 30%로 인하 되었습니다.
구 분 | 내 용 | 비고 |
적용시기 | 2018년 7월 1일부터 | 주1) |
적용대상 | 만 65세 이상 부분무치악 (완전무치악 제외) | |
적용 개수 | 평생 2개 | |
본인부담율 | 환자 본인부담율 30% |
주1) 시기별 정책
-. 2014년 7월부터 : 만75세 이상, 보조금 50%
-. 2015년 7월부터 : 만70세 이상, 보조금 50%
-. 2016년 7월부터 : 만65세 이상, 보조금 50%
-. 2018년 7월부터 : 만65세 이상, 보조금 70%
덴티스는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을 주력으로 하며 보철, 시술기구를 포함하는 치과용 의료기기와 생체재료, 치과용 3D 프린터 및 수술등 기반으로 개발,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건강과 행복한 삶을 고객과 함께하는 메디컬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덴티스가 속해있는 치과용 의료기기 산업 내 주요 제품인 치과용 임플란트는 자연치아가 파손되었거나 소실되었을 때 자연치아의 기능을 대신하는 인공치아를 뜻하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자연치아의 뿌리(치근) 기능을 하는 Fixture(지대치)와 Fixture에 연결되어 잇몸(Gingiva)과 접촉하며 인공치관(Crown)의 기둥 기능을 하는 Abutment(지대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공치아를 구현하는 현재의 시술 방법은, 소실된 치아에 Pure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작된 Fixture를 턱뼈에 이식하여 일정 기간의 골 치유(Osseo-integration) 기간이 지나면, Abutment를 연결하여 구강 내부의 구조를 작업모형으로(Impression, 인상과정) 제작한 후, 치아 형상의 인공 Crown을 제작하는 3단계로 시술됩니다.
[의료용 조명등]
의료용 조명등 기기(Medical Light Equipment)는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 및 치료시 환자의 환부를 잘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조명기구입니다. 이러한 의료용 조명등 기기에는 진단 및 진료 사용되는 의료등(medical light)과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무영등(surgical light)이 있습니다.
의료용 조명등 기기는 높은 조명도와 연색성, 방사열 및 그림자 방지에 특별히 주안점을 두고 제작되어야 합니다. 초기 의료용 조명등 기기는 백열전구 및 할로겐 램프로 개발되었으나 LED 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의료용 조명등 기기는 LED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치과용 3D프린터]
치과용 3D프린터(Dental 3D Printer)는 일반 산업 및 교육용으로 활용되는 3D프린터를 치과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와 악교정 수술, 치아 교정 치료 등 다양한 치과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3D프린터의 출력방식은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치과분야에서는 광경화 조성의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와 DLP(digital light processing), Poly-Jet, LCD(Liquid-Crystal Display) 방식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덴티스는 2016년 치과 업계 최초로 치과전용 SLA 방식 3D프린터와 다양한 치과 분야에적용 가능한 광경화 레진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2018년에는 DLP 방식의 3D프린터를 개발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3D프린터 수출 실적을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었고, 2020년에는 Mono LCD 방식의 L2 프린터를 개발, 출시하였습니다.
구분 | 내용 | |
핵심 보유기술 | 치과전용 SLA 방식 3D 프린터 |
- 국내 치과업계 중 최초 3D 프린터 장비 자체 개발 - 16㎛ 고정밀도로 치과분야에 특화된 RP시스템 구현 - 독자개발한 치과 전용 소재 - 반영구 사용가능한 수조 (국내외 특허 출원) |
치과전용 DLP 방식 3D 프린터 |
- 50㎛ 정밀도로 치과분야에 특화된 RP시스템 구현 - 빠른 출력시간 및 광균일도 제어 기술로 인해 가격경쟁력 확보 - 독자개발한 치과 전용 소재 - 반영구 사용가능한 수조 (국내외 특허 출원) |
|
치과전용 LCD 방식 3D 프린터 | - 50㎛ 정밀도로 치과분야에 특화된 RP 시스템 구현 - 빠른 출력시간 및 광 균일도 제어 기술로 인해 가격경쟁력 확보 - 독자 개발한 치과 전용 소재 |
[바이오]
- 치과용 합성골 이식재 사업
골이식재는 골전도 및 골유도 과정을 통해 치조골을 수복하여 임플란트 식립 시 양질의 골을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골이식재의 종류에는 재료에 따라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로 분류가 되며 자가골은 환자 자신의 공여부에서 채취하여 만들어지며 면역반응이 없고 골유도, 골전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채취를 위한 환자에게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하며 채취량에 대한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동종골은 유전적으로 같은 종, 즉 타인에게서 골을 채취하므로 자가골과 유사한 장점이 있으나 타인의 병력, 질병 이력에 따라 전염의 위험이 따르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종골은 대부분 소에서 유래된 뼈를 이용하여 채취가 용이하고 골전도, 골유도가 우수하나 광우병에 대한 노출 위험과 면역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조과정의 주의가 요구되어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며 자가골이나 동종골에 비해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합성골은 산호와 같은 천연물에서 채취하거나 금속, 석고, 인산칼슘 화합물(HA-Hydroxyapatite, TCP-Tricalcium phosphate, BCP-Biphasic calcium phosphate) 등을 합성하여 얻습니다. 그로 인해 재료의 크기의 제한이 없고 가공의 자유도가 높아 맞춤형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량 합성이 가능하여 저비용으로 생산 가능합니다.또한 면역반응이 없으며, 감염 및 전염의 위험성이 아주 낮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가골, 동종골 및 이종골은 사용상의 제약이 많아 실제 골과 유사한 합성골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져 왔습니다.
- 치과용 차단막 사업
생체 이식 치과용 치주조직 재생 차단막은 골유도재생술(GBR)을 시행 시 골이식재를 골 결손부에 이식 후 상피세포나 섬유아 세포의 유입을 억제시킴으로써 골이식재에 의해 골재생이 되는 동안 효과적으로 공간 확보 및 유지하여 성공적인 골유도재생술(GBR)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요한 생체 이식 재료입니다.
이는 높은 수준의 생체친화성, 생체적합성, 생물학적 안정성, 물리적 강도, 골생성 유도를 위한 기능을 요구하며 또한 기존 차단막의 복잡한 공정과정 및 비싼 원재료로 인해 고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가격경쟁력을 갖춘 차단막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최근댓글